주식 32

2023년 5월 19일 투자일기

드디어 반도체장이 돌아왔다 기관 외인 수급도 들어오면서 센티가 확실히 바뀌는 거 같다. 다음 변곡점은 6월 쯤이 될 것이다. 보통 반기별로 ? 재고체크가 되는데 6월 재고 데이터에서 재고감소가 보인다면, 반도체는 더 뛸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 테마주로는 5G를 조심스럽게 예상해보고 싶다. 최근 테마주들을 보면 'AI' '자율주행' '저궤도 위성' 등인데 이들은 모두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가 중요하지 않나 싶다. 5G 섹터는 통신사들의 5G 투자 딜레이 이후 거의 버려졌는데, 하나증권 리포트에 의하면 23년 1분기 실적이 YoY 기준으로 반등했다고 한다. 실적도 개선되고, 다음 테마주로는 5G가 아닐까 싶다. Chat GPT 의 아버지인 샘 얼트만의 방한일정이 6월 초에 있다. 관련하여 AI 섹터도 6월 초까..

주식 2023.05.20

2023년 5월 9일 투자일기

전반적으로 장 센티가 약해지는 모습. 조만간 미국 CPI발표도 있다. *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 흥미로운 뉴스 두 개가 있었다. CATL 배터리를 탑재한 테슬라 모델이 미국 IRA 세금혜택 리스트에 올랐다는 뉴스가 있었고, 더 이상 에코프로 대차물량이 없다는 뉴스가 있었다. 앞선 뉴스는 한국 배터리 벨류체인에 부정적인 뉴스이고, 후자는 더 이상 숏칠 물량이 없다는 뉴스이다. 나는 한국 배터리 벨류체인이 너무 장밋빛 전망에 사로잡혀 너무 많이 올랐다고 생각하는 1인이다. 향후 더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금요일 에코프로의 MSCI 편입 여부를 두고, 조만간 숏커버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므로, 당분간 stay away 하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 * LG 이노텍: 애플의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에 전일 ..

주식 2023.05.09

2023년 5월 4일 투자일기

긴 연휴를 앞두고 있어서 그런지 전반적으로 장이 조용했다. + 바이오: 오늘의 주도주!. 여러 희소식에 전반적으로 주가가 좋았다. 일라이일리의 치매약 뉴스도 있었고, 머크의 한국투자 뉴스도 있었다. 특히 SK바이오사이언스는 머크사와 non-Covid vaccine CMO 소식에 주가가 급등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공매도 잔고도 3% 수준이고, 개인 신용도 며칠간 빠지는 추세라, 리테일 수급도 돌아오면 단기적으론 주가가 좋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락업물량 해소 후 회복 중. 사실 바이오는 잘 모르겠다... https://economist.co.kr/article/view/ecn202305040065 https://view.asiae.co.kr/article/2023050322312626..

주식 2023.05.05

2023년 5월 3일 투자일기

- 엔터주: 엔터주에 대한 열기가 대단하다. 앨범 판매량 신기록 달성, 콘서트 추가 공연 등 좋은 소식이 많다. 하지만 많이 올랐으니 함 떨구고 가보자 - 배터리 (혹은 에코프로): 변한 건 없다. 좋은 건 알겠으나 너무 가파르게 올랐다. (사실 그리 좋은 지도...). 어떻게 세부안도 나오지 않은 US IRA 보조금을 실적에 잡을 수 있지? 당분간은 오를 때마다 숏쳐도 될 듯하다. 특히 오늘 장막판에 에코프로랑 에코프로비엠 쪽으로 공매도가 많이 붙었다. 평상시 같으면 공매도 호가 다 잡아먹고 몇 틱씩 반등했는데, 오늘은 힘없이 하락했다. 증권사가 신용대출 막은 영향이 크지 않을까 생각한다. 하루 더 숏으로 봐도 될 듯하다. - 아모레: 실적이 안 좋다. 하방은 얼마 없는 듯 하나 실적의 개선 여지가 있..

주식 2023.05.04

2022 하반기 주식시장에 대한 생각

1. MACRO: 강달러 + 고유가 유지 금리 제롬 파월 FED 의장이 26일 잭슨홀에서 매파(강경, 금리인상)적인 stance를 보였다.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해서 기업과 가계의 고통도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FED가 긴축정책을 할땐 실질 이율이 +가 될 때까지 한다. 미국 CPI 가 8.5% YoY 증가했고, 기준금리가 2.50% 라 했을 때 실질금리는 아직도 -6% 수준이다. (실질금리 = 명목금리 - 물가상승률) 미국 기준금리도 계속 오를 것으로 보인다. 왜 한국은행은 열심히 안오르는지 모르겠다. 한국은행은 8월 미팅에서 25bp만 인상했고, 앞으로 남은 2번의 미팅에서도 25bp 인상만 고려중이라고 했다. 미국에서 50 bp만 인상해도 바로 역전이다... 달라 강세가 유로화 약세로 인한 현상으로 보아..

주식 2022.08.27

인플레이션과 우리의 미래에 대한 생각

늘어난 통화량, 낮은 금리, 경제 호황, 공급망 혼란 등 다양한 요인들의 작용으로 갑작스러운 인플레이션 위험을 겪고 있다. 요새 부동산, 비트코인 부자라는 소리를 많이 듣는다. 급등하는 자산시장에 올라타 부자된 사람들이 많나 보다. 코로나 사태 이후 무언가 많이 꼬인것 같다. 물건값들이 하루가 멀다하고 오르는 중이다. 1500원대 하던 기름값도 1900원대에 유지되고 있다. 자동차 가격도 인상중이고, 할인하던 옷들도 할인을 더 이상 안 한다. 무엇보다 내가 가장 느끼는건 맛집 예약하기가 이젠 거의 불가능하다. 예전엔 아무리 맛집이어도 1-2달 전엔 예약이 가능했으나 이젠 거의 불가능하다. 쏠림현상이 심해진 것일 수도 있으나, 한 끼 10-20만 원 하는 식당도 예약이 힘들다. 신문과 인터넷에서만 보던 비..

주식 2022.05.09

WACC, DCF 금리인상기의 알아야할 벨류에이션 용어

#벨류에이션 #Valuation #WACC #DCF #금리인상 #주식투자 #주식투자전략 벨류에이션이란 주식 혹은 자산의 적정가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벨류에이션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고, 그중 가장 유명한 방법인 DCF (Discounted cash flow)를 간단히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 나는 왜 금리인상과 벨류에이션 하락이 영향이 있다고 생각하는지도 알아보자! DCF는 말그대로 미래의 수입을 현재가치로 변환하여 적정가치를 계산하는 공식이다. 삼성전자라는 회사가 지금의 가치 혹은 적정가치는 얼마일까? 라는 의문이 생길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삼성전자가 올해 버는돈 + 내년에 버는돈 + 내후년에 버는돈 ~~~~~ 을 모두 현재의 가치로 환산하여 더하면, 적정한 현재 가치가 나온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여기선..

주식 2022.05.09

재미로 보는 과거: IMF 사태

배경: 70 년대 미국 경제 불황에도 불구, 물가까지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 상황 - 1900년대 중반은 'New deal' 정책으로 유명한 케인즈의 수정자본주의가 주요 이론이었던 시대 - 1970년대에 들며 여러가지 이슈가 발생, 미국의 국제수지 적자폭이 커지고 베트남 전쟁 등으로 재정적자 폭이 커지며 미국이 브레턴우즈 체제 포기 (금본위제, 금단위에 달러가치 고정) - 미국 대공황때의 New deal 정책처럼 달러를 찍어내어 상황을 극복하려했으나 이로인한 인플레이션 까지 발생 (석유가격 폭등, input cost driven inflation) - 이에 실업률과 물가가 같이 상승하는 스태그플레이션 발생 - 당시 주류세력인 수정자본주의자들의 시각에선 발생할 수 없는 스태그플레이션을 해결하기위해 미국은 금..

주식 2022.05.09

물가상승과 금리인상의 관계. 이제는 금리인상기

#금리인상 #물가상승 #CPI 나는 경기확장기에 살았다. 아래 그래프는 코스피200 지수의 1991-2022 사이의 움직임을 보여준다. 중간중간 IMF도 있고 2007년 글로벌 금융위기도 있었지만 큰 흐름으로 봤을때, 지금까진 경기 확장기였다. 아래 4개 그래프가 그 사실을 증명해준다. 2개는 미국 정책금리의 상단 / 2개는 미국 10년물 금리이다. --> 미국 정책금리 상단 1950 - 2022 --> 미국 정책금리 상단 1991 - 2022 --> 미국 10년물 금리 2000 - 2022 --> 미국 10년물 금리 1950 - 2022 요즘 주식시장을 보면 '금리인상' 얘기가 많이 나온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411018020&wl..

주식 2022.04.12

현대자동차 그룹의 승계이슈 (Restructuring)

#주식 #내생각 #내생각정리 #승계 #지배구조 삼성그룹의 지배구조 이슈 이후 지배구조에 지대한 관심이 생겼다. 아무래도 지금 시대가 세대교체기인듯 하다. 결국 현대차 그룹도 승계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에 대해 미리 생각해봤다. Disclaimer 너무 승계만 생각해서 죄송하다. 난 초대 기업가들을 정말 존경한다. - BACKGROUND - 현대차그룹의 지배구조는 특이하다. 아직까지 순환출자구조가 해소가 안됐고, 언젠가는 해결될 것이다. --> 정씨가문 --> 현대모비스 --> 현대차 --> 기아차 --> 현대 모비스의 순환구조 - 삼성그룹때 처럼 2세(혹은 3세)의 지배력이 약하다. - 결국 현대모비스가 실질지주사인데, 정의선 회장님 (ES Chung)은 0.32% 보유. - ES 회장님의 그나마 무기가..

주식 2022.03.21
728x90
반응형